:::

詳目顯示

回上一頁
題名:중화권 한국어 학습자 연결어미‘-는데’사용 오류 분석 및 개선 제언--학습자 말뭉치를 대상으로
書刊名:高大人文學報
作者:金清李京保 引用關係
出版日期:2022
卷期:7
頁次:頁53-82
主題關鍵詞:연결어미-는데학습자 말뭉치오류분석대치오류Connective endingKorean learner's corpusError analysisMeaning function
原始連結:連回原系統網址new window
相關次數:
  • 被引用次數被引用次數:期刊(0) 博士論文(1) 專書(0) 專書論文(0)
  • 排除自我引用排除自我引用:0
  • 共同引用共同引用:0
  • 點閱點閱:1
期刊論文
1.김서형(2011)。한국어 학습자의 대체 표현 연구--중·고급 학습자의 연결어미 사용 실태를 중심으로。한국어학,50,81-161。  new window
2.김충실(1999)。접속어미 '-는데'의 의미적 통사적 분석。중국조선어문,1999(3),28-31。  new window
3.서정수(1973)。접속어미 'ㄴ/는데'에 관하여。국어국문학,61,96-98。  new window
4.손재은(2007)。연결어미 '-ㄴ데'의 수업 지도 방안 연구。한국어교육,18(1),181-199。  new window
5.윤민애(2018)。한국어 학습자의 연결어미 '-는데'의 오류 원인 분석。국제어문,79,531-562。  new window
6.윤평현(1999)。국어학: 국어의 상황관계 접속어미에 대한 연구。한국언어문학,43,603-625。  new window
7.이기동(1979)。연결어미 '-는데'의 화용상의 기능。인문과학,40,117-143。  new window
8.이숙(2014)。한국어 연결어미 ‘–는데’의 담화기능 분석。문법교육,21,167-190。  new window
9.이은경(1999)。구어체 텍스트에서의 한국어 연결 어미의 기능。국어학,34,167-198。  new window
10.이재성(2016)。연결어미 '-는데'의 형태 의미와 의미 기능。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45,255-278。  new window
11.전정미(2018)。한국어 교육을 위한 연결어미 '-는데'의 의미 기능 연구。우리말연구,53,281-311。  new window
12.장경희(1995)。'-는데'로 표현되는 배경과 모습 관계의 특성。한국언어문화,13,1103-1122。  new window
13.최주희(2013)。한국어 교육을 위한 '-는데'의 핵심기능과 사용상의 제약 고찰。영주어문,25,133-163。  new window
14.함계임(2016)。인지언어학이론을 적용한 한국어 연결어미 '-(으)ㄴ/는데'의 사용 상황 선정과 의미 제시 순서。언어와 문화,12(4),240-261。  new window
15.함계임(2017)。배경 분류를 통한 유사 문형 변별 방안 - '-(으)ㄴ/는데'와 '-지만','-니까'를 대상으로。문법 교육,31,341-370。  new window
學位論文
1.강소영(2012)。오류 분석을 통한 연결어미 지도방안- 초급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碩士論文)。충북대학교。  延伸查詢new window
2.구민영(2012)。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연결어미 '-는데' 교육 방안 연구(碩士論文)。한국외국어대학교。  延伸查詢new window
3.김호경(2015)。외국인 학습자의 연결어미 '-는데' 사용 오류에 대한 연구 -이유의 의미를 중심으로(碩士論文)。세종대학교。  延伸查詢new window
4.김향숙(2012)。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결어미 교육 연구(博士論文)。충남대학교。  延伸查詢new window
5.이소현(2012)。한국어 연결어미 '-는데'의 의미 연구(博士論文)。한국외국어대학교。  延伸查詢new window
圖書
1.최현배(1959)。우리말본。정음문화사。  延伸查詢new window
2.허용、강현화、고명균、김미옥、김선정、김재욱(2005)。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 개론。박이정。  延伸查詢new window
3.김광해(1999)。국어지식탐구。박이정。  延伸查詢new window
4.백봉자(2013)。한국어 문법 어떻게 가르치는가?。하우。  延伸查詢new window
5.서정수(1999)。국어문법。뿌리깊은나무。  延伸查詢new window
6.손경애(2016)。연결어미와 연결어미 교육。신구문화사。  延伸查詢new window
7.이정희(2005)。한국어 학습자의 오류연구。박이정。  延伸查詢new window
8.이초(2019)。말뭉치를 기반으로 한 한국어 시간관계 연결어미와 그 중국어 대응 양상 연구。하우。  延伸查詢new window
9.주시경、고영근、이현희(1986)。국어문법。탑출판사。  延伸查詢new window
10.李昌圭、黃種德(2012)。史上最強韓語文法。國際學村。  延伸查詢new window
11.국립국어원(2005)。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2--용법편。커뮤니케이션북스。  延伸查詢new window
12.임홍빈(2014)。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연세대학교 출판부。  延伸查詢new window
 
 
 
 
第一頁 上一頁 下一頁 最後一頁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