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詳目顯示

回上一頁
題名:十九世紀末朝鮮的中國認識之背景與「脫中」問題
書刊名:政治科學論叢
作者:朴炳培
作者(外文):Park, Byungbae
出版日期:2019
卷期:82
頁次:頁39-80
主題關鍵詞:中國朝鮮小中華意識脫中文明論ChinaJoseon KoreaConsciousness of little-ChinaDe-chinizationCivilization
原始連結:連回原系統網址new window
相關次數:
  • 被引用次數被引用次數:期刊(1) 博士論文(0) 專書(0) 專書論文(0)
  • 排除自我引用排除自我引用:1
  • 共同引用共同引用:0
  • 點閱點閱:3
期刊論文
1.桂勝範(2007)。광해군대 말엽(1621-1622) 외교노선 논쟁의 실제와 그 성격。역사학보,193,1-37。  new window
2.桂勝範(2008)。계해정변(인조반정)의 명분과 그 인식의 변화。남명학 연구,26,439-478。  延伸查詢new window
3.桂勝範(2009)。조선후기 중화론의 이면과 그 유산: 명.청 관련 호칭의 변화를 중심으로。한국사학사학보,19,39-81。  延伸查詢new window
4.桂勝範(2012)。의병의 개념과 임진의병。서강인문논총,3,5-37。  延伸查詢new window
5.具都暎(2006)。중종대 사대인식의 변화。역사와 현실,62,345-376。  延伸查詢new window
6.金普漢(2014)。고려.조선의 대일본 외교와 왜구:13-15 세기 금구 외교와 그 성과를 중심으로。한일관계사연구,47,3-34。  new window
7.金相泰(1996)。조선 세조대의 원구단 복설과 그 성격。한국학연구,6/7,193-223。  延伸查詢new window
8.金世英(1998)。조선 효종조 북벌론 연구。백산학보,51,121-153。  延伸查詢new window
9.金正起(1988)。청의 조선 종주권 문제와 내정 간섭。역사비평,3,105-119。  延伸查詢new window
10.金顯哲(2016)。개항기 청의 대조선 정책。현대사광장,8,10-28。  延伸查詢new window
11.李光麟(1998)。개화기 한국인의 아시아연대론。한국사연구,61/62,285-299。  延伸查詢new window
12.李玟源(1988)。칭제논의의 전개와 대한제국의 성립。청계사학,5,261-296。  延伸查詢new window
13.朴元熇(1980)。명『정난의 역』 시기의 조선에 대한 정책。부산사학,4,93-112。  延伸查詢new window
14.朴元熇(1983)。명『정난의 역』에 대한 조선의 대응。아세아연구,26(2),179-193。  延伸查詢new window
15.朴正珉(2010)。조선초기의 여진 관계와 여진인식의 고착화:태조--세종대를 중심으로。한일관계사연구,35,89-121。  延伸查詢new window
16.朴正珉(2014)。연산군--명종대 여진인 내조의 재검토。역사학보,222,37-65。  延伸查詢new window
17.朴賢謨(2004)。세도정치기(1800-1863) 조선의 대외정책 연구。국제정치논총,44(4),7-26。  new window
18.朴鴻圭(2001)。17 세기 덕천일본에 있어서의 화이문제: 중국.조선과의 비교관점에서。한국정치학회보,35(4),282-285。  new window
19.吳洙彰(1985)。인조대 정치세력의 동향。한국사론,13,49-119。  延伸查詢new window
20.尹榮寅(2002)。서구 학계 조공제도 이론의 중국 중심적 문화론 비판。아세아연구,45(3),269-290。  延伸查詢new window
21.張俊赫(2014)。여말선초 동아시아 국제정세 속의 대마도 정벌。역사와 실학,53,51-85。  延伸查詢new window
22.全海宗(1966)。한중조공관계고。동양사학연구,1,10-41。  延伸查詢new window
23.全海宗(1966)。청대 한중조공관계 종고。진단학보,29/30,435-480。  延伸查詢new window
24.鄭東勳(2012)。명대의 예제 질서에서 조선국왕의 위상。역사와 현실,84,251-292。  延伸查詢new window
25.鄭容和(2004)。사대.중화질서 관념의 해체과정。국제정치논총,44(1),95-115。  延伸查詢new window
26.池斗煥(1987)。조선후기 예송 연구。부산사학,11,77-125。  延伸查詢new window
27.崔韶子(1997)。18세기 후반『연행록』을 통해 본 조선지식인들의 대중국인식。국사관논총,76,191-223。  延伸查詢new window
28.河宇鳳(2003)。조선전기 대외관계에 나타난 자아인식과 타자인식。한국사연구,123,247-270。  延伸查詢new window
29.韓明基(2003)。병자호란 패전의 정치적 파장。동양학지,119,53-93。  延伸查詢new window
30.韓文鍾(2004)。조선전기 일본국왕사의 조선통교。한일관계사연구,21,5-36。  延伸查詢new window
31.韓文鍾(2011)。조선의 남방지역과 일본에 대한 경계인식。한일관계사연구,39,131-158。  延伸查詢new window
32.韓文鍾(2013)。조선전기 한일관계와 대마。동북아역사논총,41,61-96。  延伸查詢new window
33.韓文鍾(2014)。조선시대 대일사행과 대마도。한일관계사연구,49,311-351。  延伸查詢new window
34.韓成周(2006)。조선초기 수직여진인 연구:세종대를 중심으로。조선시대사학보,36,67-108。  延伸查詢new window
35.韓成周(2007)。조선초기 조,명 이중수직여진인의 양속문제。조선시 대사학보,40,5-43。  延伸查詢new window
36.韓成周(2009)。조선전기 '자소'에 대한 고찰:대마도 왜인 및 여진 세력을 중심으로。한일관계사연구,33,203-236。  延伸查詢new window
37.韓成周(2010)。조선전기 두만강유역 '여진 번리.번호' 의 형성과 성격。한국사학보,41,163-201。  延伸查詢new window
38.韓成周(2012)。조선전기 두만강유역에 나타나는 두 개의 '조선'。명청사연구,37,245-273。  延伸查詢new window
39.韓成周(2014)。조선 변경정책의 허와 실:두만강 유역 여진 번호의 성장과 발전。명청사연구,42,159-186。  延伸查詢new window
40.Kye, S. B.(2004)。The Posthumous Image and Role of Ming Taizu in Korean Politics。Ming Studies,50,107-130。  new window
41.Kye, S. B.(2010)。Huddling under the Imperial Umbrella: A Korean Approach to Ming China in the Early 1500s。Journal of Korean Studies,15(1),41-66。  new window
42.Robinson, K. R.(2000)。Centering the King of Choson: Aspect of Korean Maritime Diplomacy, 1392-1592。Journal of Asian Studies,59(1),109-125。  new window
學位論文
1.王元周(2003)。한국근대이행기 화이관의 변화와 민족의식(博士論文)。연세대학교,서울。  延伸查詢new window
2.車周泳(2004)。16 세기 사림세력의 집권과정과 정치성향(博士論文)。상명대학교,서울。  延伸查詢new window
3.Walker, H. D.(1971)。The Yi-Ming Rapprochement: Sino-Korean Foreign Relations, 1392-1592(博士論文)。University of California,California, LA。  new window
圖書
1.Mote, Frederick W.(1999)。Imperial China: 900-1800。Harvard University Press。  new window
2.濱下武志(1997)。朝貢システムと近代アジア。東京:岩波書店。  延伸查詢new window
3.中央研究院近代史研究所(1972)。清季中日韓關係史料。臺北:中央研究院近代史研究所。  延伸查詢new window
4.Deuchler, Martina(1992)。The Confucian Transformation of Korea: A Study of Society and Ideology。Council on East Asian Studies, Harvard University。  new window
5.日本外務省外交史料館(1955)。日本外交文書。東京:日本外交文書頒布會。  延伸查詢new window
6.계승범(2011)。정지된 시간:조선의 대보단과 근대의 문턱。首爾:서강대학교출판부。  延伸查詢new window
7.宋恕(1993)。宋恕記。北京:中華書局。  延伸查詢new window
8.孫衛國(2007)。大明旗號與小中華意識:朝鮮王朝尊周思明思想問題研究。北京:商務印書館。  延伸查詢new window
9.桂勝範(2014)。중종의 시대:조선의 유교화와 사림운동。경기도 고양시:역사비평사。  延伸查詢new window
10.權錫奉(1986)。청말 대조선정책사연구。서울:일조각。  延伸查詢new window
11.金珉煥(1988)。개화기 민족지의 사회사상。서울:나남。  延伸查詢new window
12.李秉恷(1999)。조선전기 사림파의 현실인식과 대응。서울:일조각。  延伸查詢new window
13.李完宰(1989)。초기 개화사상 연구。서울:민족문화사。  延伸查詢new window
14.閔斗基(1980)。중국 근대사 연구。서울:일조각。  延伸查詢new window
15.閔斗基(2001)。시간과의 경쟁。서울:연세대학교 출판부。  延伸查詢new window
16.朴元熇(2002)。명초 조선관계사 연구。서울:일조각。  延伸查詢new window
17.白永瑞(2000)。동아시아의 귀환。서울:창작과 비평사。  延伸查詢new window
18.孫禎睦(1982)。한국개항기 도시사회경제사 연구。서울:일지사。  延伸查詢new window
19.鄭杜熙(1983)。조선초기 정치지배세력 연구。서울:일조각。  延伸查詢new window
20.鄭玉子(1998)。조선후기 조선중화사상 연구。서울:일지사。  延伸查詢new window
21.崔承熙(2005)。조선초기 정치문화의 이해。서울:지식산업사。  延伸查詢new window
22.韓國國史編撰委員會(2015)。朝鮮王朝實錄。  延伸查詢new window
23.韓明基(1999)。임진왜란과 한중관계。서울:역사비평사。  延伸查詢new window
24.嚴從簡、余思黎(1993)。殊域周咨錄。中華書局。  延伸查詢new window
25.Duncan, John B.(2000)。The Origins of the Choson Dynasty。Seattle。  new window
圖書論文
1.古田博司(1998)。東アジア中華思想共有圈の形成。脱オリエンタリズムとしての社会知--社会科学の非西欧的パラダイムの可能性。ミネルヴァ書房。  延伸查詢new window
2.金基赫(1996)。이흥장과 청일전쟁:외교적 배경의 고찰。청일전쟁의 재조명。강원도 춘천시:한림대학교 아시아 문화 연구소。  延伸查詢new window
3.金正起(1993)。청의 조선정책(1876-1894)。1894년 농민전쟁연구。서울:역사비평사。  延伸查詢new window
4.柳長根(2004)。동아시아 근대사와 중국의 위상。주변에서 본 동아시아。서울:문학과 지성사。  延伸查詢new window
5.Chun, Hae-jong(1968)。Sino-Korea Tributary Relations in the Ch'ing Period。The Chinese World Order: Traditional China's Foreign Relations。Cambridge:Harvard University Press。  new window
6.Clark, D. N.(1998)。Sino-Korean Tributary Relations under the Ming。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 8: The Ming Dynasty, 1368-1644。New York: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window
7.Geiss, J.(1988)。The Chia-Ching Reign, 1522-1566。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New York: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window
 
 
 
 
第一頁 上一頁 下一頁 最後一頁 top
:::
無相關博士論文
 
無相關著作
 
無相關點閱
 
QR Code
QR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