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詳目顯示

回上一頁
題名:清代中期與末期朝鮮的文化認同:歷史案例研究
書刊名:政治學報
作者:楊仕樂
作者(外文):Yang, Shih-yueh
出版日期:2022
卷期:73
頁次:頁33-72
主題關鍵詞:文化認同中國崛起明朝清朝朝鮮Culture identityRise of ChinaMing DynastyQing DynastyKorea
原始連結:連回原系統網址new window
相關次數:
  • 被引用次數被引用次數:期刊(0) 博士論文(0) 專書(0) 專書論文(0)
  • 排除自我引用排除自我引用:0
  • 共同引用共同引用:15
  • 點閱點閱:5
期刊論文
1.Kang, David C.(2010)。Hierarchy and Legitimacy in International Systems: The Tribute System in Early Modern East Asia。Security Studies,19(4),591-622。  new window
2.Kang, David C.(2005)。Hierarchy in Asian International Relations: 1300-1900。Asian Security,1(1),53-79。  new window
3.孫衛國(20071200)。義理與現實的衝突--從丁未漂流人事件看朝鮮王朝之尊明貶清文化心態。漢學研究,25(2)=51,187-210。new window  延伸查詢new window
4.楊仕樂(20161200)。中國文化與中國對外行為:「興滅繼絕」理念與朝鮮「壬辰倭亂」。政治科學論叢,70,159-195。new window  延伸查詢new window
5.楊仕樂(20170300)。東亞朝貢體系的實證檢驗:朝鮮的案例研究1618-1637。問題與研究,56(1),53-79。new window  延伸查詢new window
6.Kang, David C.(2004)。Hierarchy, Balancing, and Empirical Puzzles in Asian International Relations。International Security,28(3),165-180。  new window
7.吳慶第(20110600)。韓國近代化政策改革運動之研究--以甲申政變為例。嶺東學報,29,199-212。new window  延伸查詢new window
8.楊仕樂(20180100)。崛起中國的權力政治或文化認同?歷史上中韓關係的實證檢驗1368-1449。遠景基金會季刊,19(1),109-155。new window  延伸查詢new window
9.Kang, David C.(2003)。Getting Asia Wrong: The Need For New Analytical Frameworks。International Security,27(4),57-85。  new window
10.王海龍、劉曉敏(2010)。朝鮮開國前清政府對朝政策的轉變。遼東學院學報(社會科學版),2010(6),135-141。  延伸查詢new window
11.Wang, Y.(2017)。Civilizing the Great Qing: Manchu-Korean Relations and the Reconstruction of the Chinese Empire, 1644-1761。Late Imperial China,38(1),113-154。  new window
12.Phillips, A.(2018)。Contesting the Confucian Peace: Civilization, Barbarism and International Hierarchy in East Asia。European Journal of International Relations,24(4),740-764。  new window
13.Kang, David C.、Shaw, Meredith、Fu, Ronan Tse-min(2016)。Measuring War in Early Modern East Asia, 1368-1841: Introducing Chinese and Korean Language Sources。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60(4),766-777。  new window
14.Kwan, A. S. C.(2016)。Hierarchy, Status and International Society: China and the Steppe Nomads。European Journal of International Relations,22(2),362-383。  new window
15.羅強(2009)。甲午戰爭前袁世凱對朝鮮干涉及中朝宗藩體制的瓦解。湖北第二師範學院學報,2009(5),58-60。  延伸查詢new window
16.楊仕樂(20191200)。漸變乎?驟變乎?明代中期以後朝鮮對中文化認同的歷史案例研究。政治學報,68,39-73。new window  延伸查詢new window
17.張靜、吳振清(2007)。黃遵憲《朝鮮策略》與近代朝鮮的開放。南開學報,2007(2),93-100。  延伸查詢new window
18.孫昉(2010)。論清代中朝宗藩關係的非成文契約性及其更張。延邊大學學報(社會科學版),2010(1),76-82。  延伸查詢new window
19.倪屹(2016)。清季中朝丁亥勘界談判始末。延邊大學學報(社會科學版),2016(1),73-79。  延伸查詢new window
20.倪屹(2014)。清季中朝乙酉勘界談判探微。延邊大學學報(社會科學版),2014(2),77-81。  延伸查詢new window
21.姜龍范(1998)。關於清季中朝邊務交涉的研究。延邊大學學報(社會科學版),1998(1),50-54。  延伸查詢new window
22.姜秀玉(2013)。論近代日本、朝鮮兩國的社會變革--以日本明治維新與朝鮮甲申政變之比較為中心。延邊大學學報(社會科學版),2013(3),47-53。  延伸查詢new window
23.周泮池(1992)。略述中日「甲申談判」。歷史教學,1992(7),43-46。  延伸查詢new window
24.林亨芬(20110600)。甲午戰後清朝對朝鮮政策研究--以1896年遣使議約為例。史耘,15,45-63。  延伸查詢new window
25.呂萍(2007)。簡論兩次朝俄密約事件與清政府的對應。東北史地,2007(3),67-71。  延伸查詢new window
26.李英順(2009)。朝鮮北學派實學思想與諸實學流派的關係。東疆學刊,2009(2),13-20。  延伸查詢new window
27.全瑩、王陽陽(2011)。清代後期柏覆在朝鮮活動述論--以《奉使朝鮮驛程日記》為中心。延邊大學學報,2011(5),78-82+91。  延伸查詢new window
28.朴炳培(20191200)。十九世紀末朝鮮的中國認識之背景與「脫中」問題。政治科學論叢,82,39-80。new window  延伸查詢new window
學位論文
1.玄花(2013)。瀋館宗藩外交研究(1637-1644)(博士論文)。吉林大學。  延伸查詢new window
2.趙春虎(2005)。長白山定界碑研究(碩士論文)。延邊大學。  延伸查詢new window
3.張月瑩(2017)。三道溝事件與朝鮮的應對(碩士論文)。東北師範大學。  延伸查詢new window
圖書
1.Crossley, Pamela Kyle(2002)。A Translucent Mirror: History and Identity in Qing Imperial Ideology。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new window
2.簡江作(2005)。韓國歷史與現代韓國。臺北:臺灣商務印書館。  延伸查詢new window
3.李元淳、崔柄憲、韓永愚、詹卓穎(1987)。韓國史。幼獅文化事業股份有限公司。  延伸查詢new window
4.Millward, James A.、Dunnell, Ruth W.、Elliott, Mark C.、Forêt, Philippe(2004)。New Qing Imperial History: The Making of Inner Asian Empire at Qing Chengde。Routledge。  new window
5.季平子(2001)。從鴉片戰爭到甲午戰爭。臺北:雲龍出版社。  延伸查詢new window
6.孫衛國(2007)。大明旗號與小中華意識:朝鮮王朝尊周思明問題研究(1637-1800)。北京:商務印書館。  延伸查詢new window
7.Rawski, Evelyn S.(2015)。Early Modern China and Northeast Asia: Cross- border Perspectives。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window
8.簡江作(1998)。韓國歷史。臺北:五南。  延伸查詢new window
9.Perdue, Peter C.(2005)。China Marches West: The Qing Conquest of Central Eurasia。Cambridge, Massachusetts:Harvard University Press。  new window
10.Elliott, Mark C.(2009)。Emperor Qianlong: Son of Heaven, Man of the World。Pearson-Longman。  new window
11.Wang, Yuanchong(2018)。Remaking the Chinese Empire: Manchu-Korean Relations, 1616-1911。Cornell University Press。  new window
12.Elliott, Mark C.(2001)。The Manchu Way: the Eight Banners and Ethnic Identity in Late Imperial China。Stanford University Press。  new window
13.孫衛國(2019)。從「尊明」到「奉清」--朝鮮王朝對清意識之嬗變,1627-1910。國立臺灣大學出版中心。new window  延伸查詢new window
其他
1.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2006)。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Origins of and System for Sillok Compilation,https://sillok.history.go.kr/intro/english.do。  new window
圖書論文
1.국사편찬위원회(2006)。회환한 열하사를 소견하고 중국의 사세를 묻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2.국사편찬위원회(2006)。황력 재자관 이진복이 황제의 만수 경전의 거행 등을 수본으로 보고하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3.국사편찬위원회(2006)。헌서 재자관 변복규가 보고 들은 바를 올리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4.국사편찬위원회(2006)。이정두가 상소를 올려 성학에 힘쓸 것을 진달하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5.국사편찬위원회(2005)。행 사직 박세채가 조정에 나아가 세 가지 조목을 차자로 아뢰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6.국사편찬위원회(2006)。한재로 인해 소결을 시행하니 김수항 등이 심집의 관작 추복을 청하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7.국사편찬위원회(2006)。칙사의 요구대로 백금을 주도록 하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8.국사편찬위원회(2006)。충량과의 홍패에 청나라의 연호를 쓰지 말게 하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9.국사편찬위원회(2006)。청나라 차사의 일, 양역 변통의 일, 주서 천망의 일 등에 대해 논의하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10.국사편찬위원회(2006)。청나라 차사 목극등이 백두산을 심사하고자 의주로 나오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11.국사편찬위원회(2006)。청나라 곽조서의 편지에 관해 의논하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12.국사편찬위원회(2006)。척사 윤음을 내리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13.국사편찬위원회(2006)。직강 김영선이 상소를 올리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14.국사편찬위원회(2006)。주강을 행하고 특진관 채제공에게 호피를 내리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15.국사편찬위원회(2006)。주청 겸 동지사의 별단。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16.국사편찬위원회(2006)。중국의 예부에 회답 자문을 보내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17.국사편찬위원회(2006)。중국의 주변국의 공물, 아편의 영향, 사치 풍조에 대한 수역(首譯)의 별단。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18.국사편찬위원회(2006)。지석영이 백성의 마음을 치료하고 우수한 인재를 등용하자는 내용의 상소를 올리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19.국사편찬위원회(2006)。제반 정사에 관해 논의하다. 명나라와의 의리에 관한 송시열의 수차。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20.국사편찬위원회(2006)。접반사 박권 등이 치계한 청나라 목차 일행의 접대에 대한 내용。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21.국사편찬위원회(2006)。접반사 박권 등이 청 차관의 접대에 대한 일을 봉계하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22.국사편찬위원회(2006)。재자관 홍명복이 수본으로 청나라 사정을 알리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23.국사편찬위원회(2006)。장령 구윤명이 당하관의 복색과 부인의 머리 쪽을 명나라의 예에 따르도록 상서하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24.국사편찬위원회(2006)。임오년의 흉악한 역적 성인묵 등을 남간에 가두고 정국을 행하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25.국사편찬위원회(2006)。이정제가 청인의 월경으로 해당 도신과 지방관을 감죄할 것을 청하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26.국사편찬위원회(2006)。의복 제도의 변경문제에 관하여 송근수가 상소하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27.국사편찬위원회(2006)。유수원이 관제 서승도설을 바치고 인재를 침체되지 않게 하는 방도를 아뢰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28.국사편찬위원회(2006)。옥당의 관원들을 소대하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29.국사편찬위원회(2006)。영화당에서 재숙하다. 김종선이 황단에 행례할 때에는 급한 일 외에는 시사하지 않도록 청하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30.국사편찬위원회(2006)。영의정 서종태 등이 사은사 파견의 일·국경을 침범한 자들의 처벌의 일등을 논의하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31.국사편찬위원회(2006)。열하로 이필하여 환도하지 않은 황제에게 열하 문안사를 보내게 하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32.국사편찬위원회(2006)。승문원 정자 이가환을 불러 여러 경서의 내용을 질의하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33.국사편찬위원회(2006)。서단이 청과 화친을 청한 글을 논하다. 오명서의 뇌물수수를 대간에게 함문하는 일을 논하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34.국사편찬위원회(2006)。상서의 내용을 문제삼아 지평 목태석을 유배하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35.국사편찬위원회(2006)。삼도구 사람이 우리 나라 사람의 창에 상처를 입었다고 하자 검칙하게 하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36.국사편찬위원회(2006)。사은사 박필성 등이 돌아와 청나라의 정황을 아뢰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37.국사편찬위원회(2006)。사신 이정리가 중국의 구휼 제도와 서양과의 관계를 아뢰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38.국사편찬위원회(2006)。사신 송상기를 체차하고 지석의 덮개에 묘호만을 써 자획을 크게 하게 하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39.국사편찬위원회(2006)。북도 어사 엄우의 서계로 정탐한 사람인 남제극 등 6명에게 차등을 두어 시상하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40.국사편찬위원회(2006)。부호군 이남규가 재정 낭비, 조세문제, 법 적용의 형평성, 일본군사의 난입 등에 관해 진술하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41.국사편찬위원회(2006)。부호군 구성임이 인조가 구굉에게 하사한 망룡전포를 바치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42.국사편찬위원회(2006)。봉조하 송시열이 나라를 다스리는 올바른 도리와 경계를 상소하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43.국사편찬위원회(2006)。변란의 사유를 중국과 일본에 통보하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44.국사편찬위원회(2006)。밤에 북묘에 거처를 옮겼다가 청나라 오조유의 영방으로 옮기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45.국사편찬위원회(2006)。박배를 돌로 쌓는 문제, 남초를 심지 말 것 등을 하교하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46.국사편찬위원회(2006)。몽고말을 바로 알고 김성발·홍성보·이정주를 개차하자는 지평 남태량의 상소。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47.국사편찬위원회(2006)。동지 정사 정석오의 졸기。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48.국사편찬위원회(2006)。동지 정사 이재협 등이 청나라의 사정을 치계하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49.국사편찬위원회(2006)。동지 정사 이강 등을 인견하고, 관서의 은을 빌려가려는 것을 책망하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50.국사편찬위원회(2006)。동지 정사 유언호 등이 압록강을 건너와 후시의 세액과 중국의 사정을 알려 치계하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51.국사편찬위원회(2006)。동지 겸 사은사 서장관 홍명호가 바친 문견 사건의 내용。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52.국사편찬위원회(2006)。《논어》를 강하면서 치평의 학문을 생각하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53.국사편찬위원회(2006)。김성기 등이 서경에 수직을 서도록 하라는 상소를 올리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54.국사편찬위원회(2006)。고 처사 허격에게 3품의 관직을 증직하라고 명하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55.국사편찬위원회(2006)。관학 유생 이근원 등 7백 27인이 강세정이 숭정 연호를 배척하였다고 연명 상소하다。조선왕조실록。  new window
56.국사편찬위원회(2006)。군민들의 일본인 질시로 인해 일본 공사가 거류민을 보호하고 김옥균 등이 일본으로 도망치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57.국사편찬위원회(2006)。궁내부 관제 중 개정 안건을 반포하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58.국사편찬위원회(2006)。김병시가 단발령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리다。조선왕조실록。  延伸查詢new window
 
 
 
 
第一頁 上一頁 下一頁 最後一頁 top
:::
無相關著作
 
無相關點閱
 
QR Code
QR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