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詳目顯示

回上一頁
題名:한국 인구 고령화의 영향과 과제--노인복지 실시에 따른 '선가정∙후사회보장'정책의 고찰
書刊名:韓國學報
作者:鄭潤道 引用關係
出版日期:2013
卷期:24
頁次:頁238-253
主題關鍵詞:고령화사회노인복지선가정∙후사회보장한국Ageing societySenior welfareFirst home careThen social securityKorea
原始連結:連回原系統網址new window
相關次數:
  • 被引用次數被引用次數:期刊(0) 博士論文(0) 專書(0) 專書論文(0)
  • 排除自我引用排除自我引用:0
  • 共同引用共同引用:2
  • 點閱點閱:9
대만과 유사한 전통유교문화권인 한국의 노인복지정책은 ‘선가정∙후사회보장’ 시책에 우선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사회 및 경제여건의 변화에 따른 가족 구조와 기능 변화로 인해 가족에 의한 노인부양기능이 점차 약화되고 있는 바로 적절한 타협 방안의 모색과 적응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동시 이에 따른 안정적 노인장기요양제도의 정착과 노인장기요양에 종사하는 대부분 여성들의 권익문제와 관련해서도 문제점과 해결방안의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현실에 착안하여 한국 노인문제가 사회복지차원에서 노인과 노인가정의 다양한 욕구에 대응해 효용성을 발휘하도록, 현재 시행되고 있는 노인복지 정책을 전반적으로 고찰해 살펴보아 지향해야할 노인복지정책의 발전 방향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do research on improvement measures in enhancing social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in the Korean population ageing of the 21^(st) century, this study is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e of the major elderly welfare policy.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Korea will become most super-aged society in 2026. This research includes finding out ”first home care, and then social security”, Korea public policies of the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today's aging society and how important impact on national competitiveness it is.
期刊論文
1.나용선(2011)。독일·일본·한국의 장기요양보험제도에 관한 비교 연구。유라시아연구,8(1)=20,253-278。  new window
2.鄭潤道(20120600)。人口高齡化與老人福利措施--韓國經驗的初步分析。韓國學報,23,320-335。new window  延伸查詢new window
會議論文
1.정윤도(2012)。한국 여성의 정치적 지위。第一屆東亞語文社會國際研討會。國立高雄大學人文社會科學院。233-246。  延伸查詢new window
2.최광(2011)。복지 정책과 논쟁에 대한 근원적 고찰。한국재정학회 2011 추계 학술대회,6-9。  new window
3.(2010)。노인장기요양보험의 문제점에 대해 알아 봅시다。보건복지부 노인장기 요양보험제도 시행 2주년 기념워크숍,(會議日期: 20100518)。  延伸查詢new window
學位論文
1.김익종(2008)。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실시에 따른 발전방향 연구(碩士論文)。관동대경영대학。  延伸查詢new window
圖書
1.최성재、장인협(2010)。고령화사회의 노인복지학。서울대학출판문화원。  延伸查詢new window
其他
1.(201006)。건보적용 노인인구 현황。  延伸查詢new window
2.(20110922)。건보적용 노인이구,첫 500만명 넘었다。  new window
3.김연명,홍경준(20110201)。[대한민국,복지의 길을 묻다] "보편적 복지 기본틀 위에서 선별적 복지 확대해야"。  延伸查詢new window
4.(20111026)。한국 여성 고용율,OECD 최하위권。  new window
5.陳金隆(2012)。正視實質薪資負成長的危機,國家政策研究基金會。,http://www.npf.org.tw/1/4521。  延伸查詢new window
圖書論文
1.(20110217)。건강가정 기본법 제정과 향후과제。건강가정 기본법 제정기념 심포지 엄보고서。대한가정학회。  延伸查詢new window
 
 
 
 
第一頁 上一頁 下一頁 最後一頁 top